![]() |
| detail of 25PW-1 |
40x80cm Abstract Painting
![]() |
| <Being and Time 존재와 시간 25PW-1>, 40x80cm, Acrylic on canvas. |
This work concisely reveals the cycle of creation and destruction through a spectrum of colors ranging from green to red and a thick texture. The layered brushstrokes on the canvas go beyond mere representation, demonstrating that colors themselves function as a material presence. The gradual shift of color symbolizes the passage of time from life to dusk, evoking the rhythm of existence, constantly changing amidst difference and repetition. Ultimately, this painting transcends abstract landscapes and functions as a space for sensitizing the fundamental movement of existence and time.
이 작품은 녹색에서 붉은색으로 이어지는 색채의 스펙트럼과 두터운 질감을 통해 생성과 소멸의 순환을 압축적으로 드러낸다. 화면 위에 겹겹이 쌓인 붓질은 단순한 재현을 넘어, 색채가 스스로 하나의 물질적 현존으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색의 점진적 이동은 생명에서 황혼으로 이어지는 시간의 흐름을 상징하며, 이는 차이와 반복 속에서 끊임없이 변주되는 존재의 리듬을 환기한다. 결국 이 회화는 추상적 풍경을 넘어, 존재와 시간의 근원적 운동을 감각하게 하는 장으로 기능한다.
![]() |
| <Being and Time 존재와 시간 25PW-2>, 40x80cm, Acrylic on canvas. |
The thick layers of paint are not a single color plane, but countless "accumulations of time." This accumulation soon transforms time into materialized traces. As Heidegger stated, "The manifestation of being is revealed in disappearance," here too, light and color stand on the border between revelation and disappearance.
The gradual change from green to red symbolizes the cycle of creation (génesis) and destruction (phthora). The flow of the gradient visualizes the movement of all beings, constantly mutating and dissolving their boundaries, as reflected in Heraclitus's phrase, "All things flow" (panta rhei).
Moreover, the thick paint on the surface reveals not a flat image, but the thickness of being. Like Deleuze's "différence et répétition," each brushstroke is composed of repetitions that are similar yet never identical. Within this repetition, differences are constantly generated, and the entire canvas vibrates with this "field of differences."
두텁게 쌓인 물감의 층들은 단일한 색면이 아니라, 수많은 ‘시간의 축적’이다. 축적은 곧 시간이 물질화된 흔적으로 전환됩니다. 하이데거가 말한 “존재의 현현은 사라짐 속에서 드러난다”는 명제처럼, 여기서도 빛과 색은 드러남과 사라짐의 경계에 서 있다.
녹색에서 적색으로의 점진적 변화는 생성(génesis)과 소멸(phthora)의 순환을 상징한다. 그라데이션의 흐름은 헤라클레이토스의 ‘만물은 흐른다(panta rhei)’라는 말처럼, 모든 존재가 끊임없이 변이하고 서로의 경계를 녹여내는 운동을 시각화한다.
또한 표면의 두터운 물감은 평면적 이미지가 아닌, 존재의 두께(thickness of being)를 드러낸다. 들뢰즈가 말한 ‘차이의 반복’(différence et répétition)처럼, 각 붓질은 유사하지만 결코 동일하지 않은 반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반복 속에서 차이는 끊임없이 생성되고, 화면 전체는 그 ‘차이들의 장(field of differences)’으로 진동한다.
![]() |
| <Tranquility, Calmness, Lingering 고요·침착·여운 25PW-3 〉40x80cm, Acrylic on canvas |
붓질 하나하나는 시간을 밀어내며 쌓인다. 청색의 결은 마음의 호흡이자, 사유의 잔물결이다.
그 위에 스며든 금빛의 틈은 고요 속에 머무는 생명의 미세한 떨림이다. 나는 멈추어 있으나, 화면은 천천히 움직인다. 침착은 정지가 아니라, 흐름의 다른 이름이다. 여운은 그 흐름이 남긴 온도—빛이 사라진 뒤에도 남는 감각의 그림자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