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ainting 80x80cm
This Series works are about revealing my deep-seated sensibility toward color. A single word is insufficient, so I'll use three keywords to describe it. I limit the colors I use to three to five for each painting. Within this limited palette, I challenge myself to explore all things in life.
For now, I'm using an 80x80cm canvas to express color, which is a suitable size.
To express color, emotional mood, and other aspects, I imbue the colors with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establish appropriate shades, and add touch, flow, and a touch of texture.
As the work takes shape, I pay close attention to the voice whispering within me, proceeding meticulously. I constantly monitor my progress and set deadlines.
<Work Note, Fall 2025>
이 시리즈 작업은 나의 내면 깊숙이 가지고 있는 색에 대한 감성을 드러내는 일이다. 하나의 어휘로는 불충분하여 3가지 키워드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사용하는 색상은 각각의 페인팅에서 3~5가지로 제한한다. 제한된 색 안에서 삼라만상에 도전한다.
우선 지금은 80x80cm 캔버스를 사용하여 색상을 표현하는데, 크기가 적당하다.
색상과 감정 분위기 등을 표현하기 위해서 색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성격을 부여하고 여기에 어울릴 수 있는 음영을 설정하고, 터치와 흐름 그리고 약간의 질감을 더한다.
작품이 형상되는 과정에서 내 안에서 속삭이는 목소리에 주목하여 정교하게 진행하며, 지속적으로 진행 과정을 살펴보면서 마감 시간을 정한다.
<작업노트, 2025 가을>
![]() |
Purity Desire Eros<25P-1> 순결 욕망 에로스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In the work <25P-28>, the intense pink and magenta symbolize erotic vitality, desire, and sensual passion. The repeated vertical lines, in the Deleuzian sense, are repetitions that generate difference, revealing the generative movement of existence. Philosophical meaning: Plato's eros (love) can be pictorially translated as the upward movement from sensation to idea.
작품 <25P-28>에서 강렬한 분홍과 마젠타는 에로스적 생명력, 욕망, 감각적 열정을 상징한다. 반복되는 수직의 선들은 들뢰즈적 의미에서 차이를 낳는 반복으로, 존재의 생성적 운동을 드러낸다. 철학적 의미: 플라톤의 eros(사랑) ― 감각에서 이데아로 향하는 상승 운동을 회화적으로 번역할 수 있다.
![]() |
Flow Formation Energy<25P-5> 흐름 생성 에너지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Bright bands running across the surface—intertwined areas of yellow, green, white, and red—look like fault lines of energy. Colors swirl and flow above and below, demonstrating a sense of movement. This transcends the static plane, demonstrating that the painting operates as a field of force. → This connects to Deleuze's concept of "flux." An object is not a fixed entity, but a process of constant creation through the interweaving of various forces.
화면을 가로지르는 밝은 띠 ― 노랑, 초록, 흰색, 붉은색이 얽힌 부분 ― 은 에너지의 단층선처럼 보이게 하였다. 그 위아래로 색채가 휘어지며 흘러내리는 듯한 운동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정적인 평면을 넘어, 회화가 힘의 장(場) 으로 작동한다.
→ 들뢰즈의 ‘흐름(Flux)’ 개념과 연결된다. 개체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다양한 힘이 얽혀 끊임없이 생성되는 과정이다.
![]() |
Nature Time Trace <25P-6> 본질 시간 흔적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Color: Layered primarily in orange, ochre, and red, the work reveals a deep texture. This hue evokes sunlight, twilight, fire, and the warmth of earth.
Composition: A vertical flow of color repeats, rhythmically dividing the entire screen. The vertical composition seems to symbolically represent natural tree trunks, rays of light, or the flow of consciousness.
Texture: The thick, rough matière evokes a tactile experience that transcends mere color overlays.
색채: 주로 주황, 황토, 붉은 계열이 겹겹이 층을 이루고 있으며, 깊이감 있는 텍스처가 드러나게 한다. 이 색조는 태양빛, 황혼, 불, 흙의 따스함 등을 연상시킨다.
구성: 세로로 흐르는 듯한 색의 흐름이 반복되며, 화면 전체를 리드미컬하게 분할한다. 수직적인 구도는 자연의 나무줄기, 빛줄기, 혹은 의식의 흐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듯하다.
질감: 두텁고 거친 마티에르가 느껴져서, 단순히 색의 겹침을 넘어 촉각적 경험을 불러일으킨다.
![]() |
Nature Time Speed <25P-7> 본질 시간 속도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Color: Layers of primarily orange, ochre, and red hues reveal a deep, textured feel. These hues evoke sunlight, dusk, fire, and the warmth of earth.
Composition: The vertical flow of color repeats, rhythmically dividing the entire canvas. The vertical composition seems to symbolically represent natural tree trunks, rays of light, or the flow of consciousness.
Texture: The speedy flow and color resonate with the lightly applied touches, evoking a visual and lively sensibility that transcends mere color overlays.
색채: 주로 주황, 황토, 붉은 계열이 겹겹이 층을 이루고 있으며, 깊이감 있는 텍스처가 드러나게 한다. 이 색조는 태양빛, 황혼, 불, 흙의 따스함 등을 연상시킨다.
구성: 세로로 흐르는 듯한 색의 흐름이 반복되며, 화면 전체를 리드미컬하게 분할한다. 수직적인 구도는 자연의 나무줄기, 빛줄기, 혹은 의식의 흐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듯하다.
질감: 스피디한 흐름과 색채는 엷게 채색된 터치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단순히 색의 겹침을 넘어 시각적인 경쾌한 감성을 불러일으킨다.
![]() |
Warm Mysterious Happiness <25P-10> 따뜻함 신비 행복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Color: A luminous yellow dominates the entire canvas, evoking symbols of the sun, vitality, and energy. The sky blues scattered throughout evoke the breath of nature or the light peeking through the gaps between blades of grass, revealing the subtlety of a vibrant natural landscape. Texture: The roughly scratched and thickly applied surface goes beyond simple color fields, evoking a tactile experience. Lingering: The gradually revealed colors evoke a musical and happy sensibility, leaving a lasting impression. 색채: 전체적으로 빛나는 노란빛이 화면을 지배하여 태양, 생명력, 에너지의 상징을 떠올리게 한다. 곳곳에 스민 하늘색은 자연의 숨결이나 풀잎의 틈새로 드러나는 빛과 같은 느낌을 주어, 생동하는 자연 풍경의 미묘함이 드러난다. 질감: 거칠게 긁히고 두텁게 발린 표면은 단순한 색면을 넘어 촉각적 경험을 유발한다. 여운: 서서히 드러나는 색채는 음악성과 함께 행복한 감성을 품고 있어서 마음의 여운을 남겨 두게 한다. |
![]() |
Sun Life Energy <25P-11> 태양 생명 에너지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Color: Green dominates, with yellow spreading like light, infusing life and vitality. Here and there, white touches feel like reflections of light, while brown and red dots create a sense of rhythm.
Texture: The thick impasto technique, applied with thick layers of paint, is prominent, creating a tactile landscape.
Composition: The strong vertical flow creates a structure reminiscent of a forest or tree trunks. It seems to abstractly depict a forest scene with light streaming through the trees.
색채: 전체적으로 빛나는 노란빛이 화면을 지배하여 태양, 생명력, 에너지의 상징을 떠올리게 한다. 곳곳에 스민 녹색은 자연의 숨결이나 풀잎이 흩뿌려진 느낌을 주어, 생동하는 자연 풍경의 단편처럼 보이기도 한다.
질감: 거칠게 긁히고 두텁게 발린 표면은 단순한 색면을 넘어 촉각적 경험을 유발한다.
공간성: 구체적 형태는 없지만,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 한 뉘앙스가 있어 ‘빛이 스며드는 벽’ 혹은 ‘들판 위의 공기’ 같은 깊이를 느낄 수 있다.
![]() |
Warm Life Happiness <25P-12> 따뜻함 생명 행복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Traces of Time – Repeated scratches and layering resemble an “eroded wall,” as if traces left by wind and light over time.
Emotional Resonance – The golden canvas radiates warmth and positive energy, while the scattered green patches hint at the cracks and vibrant life hidden within.
시간의 흔적 – 반복된 긁힘과 레이어링은 ‘침식된 벽’처럼 보이며, 마치 오랜 시간 동안 바람과 빛이 남긴 흔적 같다.
정서적 울림 – 황금 빛 화면은 따스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는 동시에, 곳곳의 녹색 얼룩은 그 안에 숨은 균열과 생명의 약동을 암시한다.
![]() | ||
Life Safety Peace <25P-13> 생명 안전 평화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Color: Green dominates, with yellow spreading like light, infusing life and vitality. Here and there, white touches feel like reflections of light, while brown and red dots create a sense of rhythm. Texture: The thick impasto technique, applied with thick layers of paint, is prominent, creating a tactile landscape. Composition: The strong vertical flow creates a structure reminiscent of a forest or tree trunks. It seems to abstractly depict a forest scene with light streaming through the trees.
색채: 녹색 계열이 주를 이루면서, 노란색이 빛처럼 번져 나가 생명력과 활력을 주고 있습니다. 곳곳의 흰색 터치가 빛의 반사처럼 느껴지며, 갈색과 붉은 점들이 리듬감을 준다. 질감: 물감을 두텁게 올린 임파스토 기법이 두드러져, 화면 자체가 일종의 촉각적 풍경처럼 다가온다. 구성: 수직적 흐름이 강해, 숲이나 나무줄기를 연상시키는 구조를 가집니다. 마치 빛이 나무 사이로 흘러드는 숲속 장면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듯하다. |
![]() |
Life Flow Peace <25P-14> 생명 흐름 평화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Natural Landscape – From a distance, the image appears as a sun-drenched meadow, while up close, the image reveals an abstract image of a trail of grass. Traces of Time – The repeated scratches and layering resemble an "eroded wall," as if traces left by wind and light over time. Emotional Resonance – The golden canvas exudes a warm, positive energy, while the scattered green patches hint at the cracks and vibrant life hidden within. Subtle gestures flow through it like the wind, perhaps even swaying the feathers of a wild beast. |
자연적 풍경 – 멀리서 보면 햇살 가득한 초원, 가까이서 보면 풀잎의 흔적 같은 이미지가 추상적으로 드러난다.
시간의 흔적 – 반복된 긁힘과 레이어링은 ‘침식된 벽’처럼 보이며, 마치 오랜 시간 동안 바람과 빛이 남긴 흔적 같다.
정서적 울림 – 황금 빛 화면은 따스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는 동시에, 곳곳의 녹색 얼룩은 그 안에 숨은 균열과 생명의 약동을 암시한다.
그 안에서 미묘한 제스처가 마치 바람처럼 흘러 지나간다. 그래서 마치 맹수의 깃털을 스치는 바람처럼 보일 수도 있다.
![]() |
Life Mystery Fresh <25P-15> 생명 신비 생성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Green symbolizes primal nature, life, and restoration. The red traces permeating it reveal the pulse of life and the tension of existence.
Philosophical significance: Like Heraclitus's thought that "struggle is the father of all things," it shows that life is created through conflict.
녹색은 근원적 자연, 생명, 회복을 상징한다. 그 안에 스며든 붉은 흔적은 생명의 맥박이자 존재의 긴장을 드러낸다.
철학적 의미: 헤라클레이토스의 “투쟁은 만물의 아버지”라는 사유처럼, 대립 속에서 생명이 생성됨을 보여준다.
![]() |
Gravity Spread Extinction <25P-16> 중력 확산 소멸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A blue rupture germinates from a single point, holding stillness and vibration together. The dense central layers pulse like a heart of compressed energy. Subtle traces disperse outward, filling the canvas like breath. Chromatic tremors oscillate between condensation and dissolution, shaping depth. The work reconfigures the stillness of light and time into a momentary eruption.
한 점에서 발아한 푸른 파열이 고요와 진동을 함께 품는다. 중심의 농밀한 색층은 응축된 에너지의 심장처럼 맥동한다. 번져 나가는 미세한 흔적들은 숨결처럼 화면을 채운다. 색의 떨림은 응결과 해체의 경계를 왕복하며 깊이를 만든다. 이 작품은 빛과 시간의 정적을 한순간의 폭발로 재구성한다.
![]() |
| Gravity Spread Extinction <25P-16> 부분 |
While creating this work, I was filled with negative energy, thinking it was too monotonous, childish, and unlikely to become a work of art. However, an unexpected twist emerged from that monotonous, ignorant, and clumsy composition. This was because a new thought emerged: that the work could resemble the creation of the world. This thought arose as I zoomed in on the center.
나는 이 작품을 제작하면서 너무 단조롭고 유치하며 작품이 될 것 같지 않다는 생각으로 내 머리 속을 가득 부정적인 에너지로 채우고 있었다. 하지만, 그 단조롭고 무식하며 어설픈 구도에서 뜻밖의 반전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것은 바로 천지창조처럼 보일 수 있는 작품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새롭게 형성 되었기 때문이다. 중앙을 확대해보면서 이러한 생각을 갖게 되었다.
![]() | ||
Purity Fantasy Mysterious <25P-17> 순수 환상 신비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Color: Light purple, pink, and white dominate the work, with intense red dots scattered throughout, creating a rhythmic effect. This creates an overall soft, dreamlike atmosphere, yet also creates a sense of tension here and there. Texture: The thick paint matière is vibrant, with rough touches and smooth brushstrokes simultaneously presenting both "trace" and "flow." Form: The curved lines that cross the canvas evoke the silhouette of a human body or a dance, yet are completely abstract, leaving room for different interpretations from each viewer. Atmosphere: A hazy yet slightly ecstatic aura, the painting also reveals shapes that seem to permeate blooming petals or light.
색채: 연보라, 분홍, 흰색이 주조를 이루며, 중간중간 강렬한 붉은 점이 리듬처럼 찍혀 있다. 이는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만들면서도, 곳곳에서 긴장감을 주는 효과를 준다. 질감: 두터운 물감의 마티에르가 살아 있으며, 거친 터치와 매끈한 붓질이 동시에 나타나는데, 이는 ‘흔적’과 ‘흐름’을 동시에 보여준다. 형태: 화면을 가로지르는 굴곡진 선들은 마치 인체의 실루엣, 혹은 춤추는 동작을 연상시키지만, 완전히 추상화되어 있어 보는 사람마다 다르게 해석될 여지가 있다. 분위기: 아련하면서도 약간 황홀한 기운이 있으며, 한편으로는 피어난 꽃잎이나 빛 속에 스며드는 듯한 형상이 보인다. |
![]() | ||
Simple Modesty Calmness <25P-18> 소박 겸손 침착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Color: Cool tones like lavender, turquoise, and sky blue dominate the canvas, while vibrant hues like yellow, red, and navy are scattered like small dots and lines, creating a sense of rhythm. Texture: The coexistence of thick and thin brushstrokes strongly reveals the painterly materiality. In particular, the overlapping brushstrokes create a watercolor-like flow while simultaneously evoking the texture of oil painting. Composition: The composition, with its abundance of vertical and diagonal brushstrokes, creates a sense of movement, as if flowing up and down the canvas. It evokes the feeling of light swaying and seeping through a forest, or of light reflecting off water. Impression: The painting exudes a dreamy yet refreshing atmosphere, and the sensory experience is a condensation of elements of nature—petals, trees, and water—in an abstract way.
|
색채: 연보라, 청록, 하늘색 같은 차가운 톤이 화면을 지배하면서, 노랑·빨강·남색 등 강렬한 색채가 작은 점이나 선처럼 흩뿌려져 리듬감을 준다.
질감: 붓질이 두텁게 쌓인 부분과 얇게 스쳐간 부분이 공존하여 회화적 물성을 강하게 드러냅니다. 특히 중첩된 붓 자국이 마치 수채화 같은 흐름과 동시에 유화의 질감을 살려낸다.
구성: 수직과 사선의 붓질이 많아 화면이 위아래로 흐르는 듯한 동세를 갖고 있다. 숲속의 빛이 흔들리며 스며드는 느낌, 혹은 빛이 물 위에 반사되는 듯한 장면을 연상시킨다.
인상: 몽환적이면서도 청량한 분위기를 주며, 감각적으로는 자연의 일부—꽃잎, 나무, 물빛—이 추상적으로 응집된다.
![]() |
Mild Love Happiness <25P-19> 온유 사랑 행복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근현대미술사 미술관 담다 소장 |
The background is expressed through the spread and overlapping of pink, lavender, and blue,
with small dots of yellow, red, and green scattered over it, creating a sense of liveliness.
Yellow and red, in particular, lend rhythm to the scene, while blue creates a sense of stability.
배경은 분홍, 연보라, 푸른색이 번짐과 겹침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그 위에 노랑, 빨강, 초록 등의 작은 색점들이 흩뿌려져 있어 생동감을 준다.
특히 노랑과 빨강은 화면에 리듬감을 부여하고, 푸른색은 안정감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 |
Gush Strength Noar <25P-20> 솟구침 강인 굉음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Emotional Stability: Blue has a calming effect on humans, lowering heart rate and relieving tension. Adding ultramarine to this color and setting strong energies above and below creates an intensity reminiscent of a waterfall. Furthermore, the visual coldness of the winter forest is visually felt, conveying the coolness of the tundra through the color combination. 정서적 안정: 파랑은 인간에게 진정 효과를 주며 심박수를 낮추고 긴장을 완화하는 색이다. 이러한 색상에 울트라 마린 색을 더하고 위아래에 강한 에너지를 설정하니, 마치 폭포수와 같은 강렬함이 형성된다. 또한, 겨울 숲의 차가운 온도가 시각적으로 느껴지면서 툰드라의 서늘함이 색의 조합을 통해서 전달되고 있다. |
![]() |
Calm Mysterious Hope <25P-21> 적막 신비 희망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Blue Emotional Stability: Blue has a calming effect on humans, lowering heart rate and relieving tension. Intellectual and Spiritual Exploration: Blue stimulates thought, meditation, and inner exploration. This is why it encourages contemplation and immersion. Solitude and Infinity: The dark blue, reminiscent of the deep sea or the universe, is associated with solitude, infinity, and mystery, prompting the viewer to reflect on themselves. |
파랑(Blue)의 심리 효과
정서적 안정: 파랑은 인간에게 진정 효과를 주며 심박수를 낮추고 긴장을 완화하는 색이다.
지적·영적 탐구: 파랑은 사유, 명상, 내적 탐험을 자극합니다. 사유와 몰입을 유도하는 이유다.
고독과 무한: 심해(深海)나 우주를 연상시키는 어두운 블루는 고독·무한·신비와 연결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자신을 성찰하게 만든다.
![]() |
Calm Sublime Hope <25P-22> 적막 숭고 희망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This work is a constant repetition of color and brushstrokes, constantly varying. While the same color palette is repeated, it is never identical, revealing subtle differences. From Deleuze's perspective that "repetition is not the reproduction of identity, but the production of difference," this painting can be seen as a field that constantly produces new sensations through difference. Heidegger described a work of art as a "manifestation of truth." This painting does not explicitly represent anything, but rather reveals "worldliness" in its unrepresentability. Color and texture go beyond mere materiality, metaphorically revealing "invisible phenomena" like the light of a forest, waves, and air. In other words, the painting functions as an event in which a hidden world reveals itself. |
이 작품은 색채와 붓질이 끊임없이 변주되며 반복된다. 같은 계열의 색이 반복되지만, 결코 동일하지 않고 미세한 차이를 드러낸다. 들뢰즈가 말한 "반복은 동일성의 복제가 아니라 차이의 생성"이라는 관점에서, 이 화면은 차이를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감각을 생산하는 장(場)이라 할 수 있다.
하이데거는 예술작품을 "진리의 현현(顯現)"이라고 말했다. 이 그림은 무엇인가를 명확히 재현하지 않지만, 오히려 그 비재현성 속에서 ‘세계-성’을 드러낸다. 색채와 질감이 단순한 물질을 넘어, 숲의 빛, 물결, 공기 같은 "보이지 않는 현상"을 은유적으로 열어 보입니다. 즉, 그림은 숨겨진 세계가 스스로 드러나는 사건으로 작동한다.
![]() | ||
Light Noisily Midnight <25P-23> 빛 웅성웅성 한밤중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Deep blue and purple envelop the entire canvas, while touches of white and bright blue spread across the center, creating the illusion of a horizon. This contrast creates a sense of light shimmering in the dark, reminiscent of deep-sea luminescence or the reflection of moonlight on the night sea. Texture is also a crucial element. The thick, layered physical traces of paint do not leave the canvas simply "flat," but rather add resonance and depth to the surface, evoking a sensory immersion for the viewer. This work can be interpreted as a "traces of light in the darkness" or "the boundary between the abyss and light." Depending on the viewer, it offers a wide range of interpretations, from cosmic landscapes (nebulae, galaxies), natural landscapes (sea, storms), to inner emotions (an intersection of anxiety and hope).'
짙은 남색과 보라색이 화면 전체를 감싸고, 중앙 부분에 흰색과 밝은 블루의 터치가 번져 있어 수평선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대비는 어두운 공간 속에서 빛이 일렁이는 듯한 느낌을 주며, 심해(深海) 속의 발광 현상이나, 밤바다 위 달빛이 반사되는 순간을 연상시킨다. 질감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두텁게 쌓인 물감의 물리적 흔적은 화면을 단순히 "평면"으로 남겨두지 않고, 표면에 울림과 깊이를 더해 관객에게 감각적 몰입을 이끌어낸다. 이 작품은 "어둠 속 빛의 흔적" 또는 "심연과 빛의 경계"라는 주제로 해석될 수 있으며, 감상자에 따라 우주적 풍경(성운, 은하), 자연의 풍경(바다, 폭풍우), 혹은 내면 세계의 감정(불안과 희망의 교차)까지 다양하게 읽힐 수 있는 여백을 품고 있다. |
![]() |
Light Silence Midnight <25P-24> 빛 적막 한밤중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 |
| Light Silence Midnight <25P-24> 부분 |
This work <25P-24> depicts the subtle flow of light within black, and I sought to visually express its resonance. A close look at this painting reveals subtle ripples, as shown below.
![]() |
Silence Dawn Mysterious <25P-25> 고요 새벽 신비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Color: The overall neutral palette creates a restrained atmosphere. Subtle differences in soft white and gray create depth.
Texture: Paint is applied roughly with a palette knife or thick brushstrokes, scratched, and accumulated to enrich the composition. The long, horizontal textured sections, in particular, evoke layers of rock or a weathered wall.
Structure: Horizontally repeating bands of matière stably divide the composition, creating subtle variations in the spaces between them to create a sense of rhythm.
색채: 전체적으로 무채색 계열을 사용하여 절제된 분위기를 주고 있다. 은은한 흰색과 회색의 미묘한 차이가 화면 깊이를 만든다.
질감: 팔레트 나이프 혹은 두꺼운 붓질로 물감을 거칠게 올려 긁고, 쌓은 자국들이 화면을 풍부하게 한다. 특히 수평적인 긴 질감 부분은 흡사 지층이나 풍화된 벽면을 연상시킨다.
구조: 수평적으로 반복되는 마티에르의 띠들이 화면을 안정적으로 나누며, 그 사이사이에 미묘한 변화를 주어 리듬감을 형성한다.
![]() | ||
Silence Void Trace <25P-26> 고요 여백 흔적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It's so still, it's stifling. It's blurred, like a painting out of focus. It's a longing to transcend the world of objects, to reach an ideal moment that's both non-expressive and immaterial, that briefly led me to paint this picture.
|
![]() |
Being Fade Rebirth <25P-27> 존재 소멸 재생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This work alludes to the "cycle of existence" or "disappearance and re-blooming,"
symbolizes the "trajectory of memory" or "rising from collapse,"
and ultimately, suggests "the time of traces."
![]() |
| 25P-27 detail |
이 작품은〈존재의 순환〉혹은〈사라짐과 다시 피어남〉을 암시하고
〈기억의 궤적〉이나 〈무너짐에서 솟아남〉을 상징하고
결과적으로는〈흔적의 시간〉을 암시한다.
![]() |
Silence Void Trace <25P-28> 고요 여백 흔적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이 작품은 너무 단조롭고 유치하여 볼품없이 느껴진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마치 캔버스를 물감으로 기워서 붙인듯한 일루전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그 이미지를 확대하면 아래와 같은 두터움을 볼 수 있다. 그것은 마치 안개를 꿰매어 물질을 이끌어내는 정신 작용과도 비교될 수 있다.
![]() |
| Silence Void Trace <25P-28> (부분) |
This work feels too monotonous and childish, almost unappealing. However, behind it all, an illusion is created at the center, as if the canvas had been plastered with paint. Enlarging the image reveals a greater thickness, as shown below. It can be compared to the mental process of sewing together fog to bring out matter.
![]() |
Border Tension Reconciliation <25P-29> 경계 긴장 화해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The work <25P-29> demonstrates that borders are not severances but places of encounter, that difference is not excluded but operates as a principle of creation, simultaneously reveals the materiality and phenomenality of painting, and ultimatel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that embraces difference.
이 작품은 경계가 단절이 아니라 만남의 장임을 보여주고, 차이가 배제되지 않고 생성의 원리로 작동하며, 회화의 물질성과 현상성을 동시에 드러내며, 결국 차이를 안은 공존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시각적 철학 실험이다.
![]() |
Life Time Being <25P-30> 생명 시간 존재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The painting surface <25P-30> is not a path from one color to another, but a space where change itself becomes reality. Existence is not a fixed form, but a constantly changing event. I am green, yellow, and orange at the same time. I exist in a state of 'already' and 'not yet.'"
“ <25P-30>의 화면은 하나의 색에서 다른 색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아니라, 변화 그 자체가 실체가 되는 공간이다.존재는 고정된 형상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해가는 사건이다. 나는 초록이면서 동시에 노랑이며 오렌지이다. 나는 ‘이미’면서 ‘아직 아닌’ 상태로 존재한다.”
This painting is not an array of colors. It is an "open field" where existence reveals itself. Green represents the world yet to be revealed, and orange represents the world already revealed.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not a single color, but the "between-being (Zwischenwesen)" that unfolds between them. We do not see fixed colors, but the moment when colors reveal and disappear—the "unconcealment (ἀλήθεια)" of existence. This painting is not a completed form, but an event in which existence reveals itself.
“이 화면은 색의 나열이 아니다. 이는 존재가 스스로를 드러내는 ‘열린 장’이다. 초록은 아직 드러나지 않은 세계이며, 오렌지는 이미 드러난 세계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어느 한 색이 아니라, 그 둘 사이에서 펼쳐지는 ‘사이-존재(Zwischenwesen)’이다. 우리는 고정된 색을 보는 것이 아니라, 색이 드러나고 사라지는 순간 — 존재의 ‘탈은폐(ἀλήθεια)’를 목격한다. 이 그림은 완결된 형상이 아니라, 존재가 스스로를 드러내는 사건이다.”




























.jpg)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