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ainting 80x80cm
This Series works are about revealing my deep-seated sensibility toward color. A single word is insufficient, so I'll use three keywords to describe it. I limit the colors I use to three to five for each painting. Within this limited palette, I challenge myself to explore all things in life.
For now, I'm using an 80x80cm canvas to express color, which is a suitable size.
To express color, emotional mood, and other aspects, I imbue the colors with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establish appropriate shades, and add touch, flow, and a touch of texture.
As the work takes shape, I pay close attention to the voice whispering within me, proceeding meticulously. I constantly monitor my progress and set deadlines.
<Work Note, Fall 2025>
이 시리즈 작업은 나의 내면 깊숙이 가지고 있는 색에 대한 감성을 드러내는 일이다. 하나의 어휘로는 불충분하여 3가지 키워드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사용하는 색상은 각각의 페인팅에서 3~5가지로 제한한다. 제한된 색 안에서 삼라만상에 도전한다.
우선 지금은 80x80cm 캔버스를 사용하여 색상을 표현하는데, 크기가 적당하다.
색상과 감정 분위기 등을 표현하기 위해서 색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성격을 부여하고 여기에 어울릴 수 있는 음영을 설정하고, 터치와 흐름 그리고 약간의 질감을 더한다.
작품이 형상되는 과정에서 내 안에서 속삭이는 목소리에 주목하여 정교하게 진행하며, 지속적으로 진행 과정을 살펴보면서 마감 시간을 정한다.
<작업노트, 2025 가을>
Being Aletheia Abyss <25P-40> 존재 알레테이아 심연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하이데거의 말처럼, 존재는 언제나 자신을 은폐하면서만 드러난다. 이 작품 <25P-40>의 표면 또한 단순한 푸른 평면이 아니라, 은폐와 드러남이 동시에 일어나는 존재의 알레테이아(ἀλήθεια, 진리-비은폐)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 |
Being Light Difference <25P-39> 존재 빛 차이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The fullness of yellow is not simply an element of color, but can be understood as a field that reveals all that exists, like the "light (Lichtung) of Being" as Heidegger called it. The yellow that fills the entire canvas opens the viewer's perspective without depicting a specific object, evoking the "visible itself" that precedes the object itself. This is closer to appearance than representation, the moment when existence reveals itself.
However, the repetitive flow of the horizontal line drawn above introduces difference into the single field of appearance. As Deleuze emphasized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difference is not mere variation but the source of creation. In this painting, the horizontal line divides the fullness of yellow, yet rather than mechanically repeating the same pattern, it subtly oscillates and shifts, producing difference.
노란색의 충만함은 단순한 색채의 한 요소가 아니라, 하이데거가 말한 “존재의 빛(Lichtung)”처럼 현존하는 모든 것을 드러내는 장(field)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화면을 가득 채운 노란색은 특정한 대상을 묘사하지 않으면서도 관람자의 시각을 열어젖히며, 사물 이전의 ‘보이는 것 자체’를 환기한다. 이는 재현(representation)이 아닌 현현(appearance), 즉 존재가 스스로 드러나는 순간에 가깝다.
그러나 그 위에 드리운 수평선의 반복적 흐름은 단일한 현현의 장에 차이를 도입한다. 들뢰즈가 『차이와 반복』에서 강조한 것처럼, 차이는 단순한 변주가 아니라 생성의 원천이다. 이 그림에서 수평선은 노란색의 충만함을 분할하면서도, 동일한 패턴의 기계적 반복이 아니라 미묘하게 흔들리고 어긋나며 차이를 생산한다.
![]() |
Nature Time Life <25P-38> 자연 시간 생명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In the <25P-38>, the bright yellow-green and yellow hues on the left side of the painting evoke the budding of spring or the beginning of nature, bathed in light. The gradually deepening green and darker tones toward the right symbolize growth, maturity, and a profound inner resonance.
In particular, the horizontally repeating grain creates a rhythm, reminiscent of windswept grass or ripples in water, transcending mere color fields to impart a sense of time and flow. The thick layer of paint on the surface reveals a material presence, while simultaneously emphasizing the painting's physical vitality through the shifting texture and color that change with the angle of light.
<25P-38>의 화면 왼편의 밝은 황록과 노란 기운은 봄의 새싹이나 빛을 머금은 자연의 시작을 연상시키며, 오른쪽으로 갈수록 점차 짙어지는 녹색과 어두운 톤은 성장과 성숙, 그리고 깊은 내면의 울림을 상징한다.
특히 화면에 가로로 반복되는 결은 바람에 흔들리는 풀밭이나 물결의 파동처럼 리듬감을 만들어내며, 단순한 색면을 넘어 시간과 흐름의 감각을 부여한다. 물감을 두텁게 쌓아 올린 표면은 물질적 존재감을 드러내고, 동시에 빛의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질감과 색채의 변화를 통해 회화가 가진 물리적 생명력을 강조한다.
![]() |
Being Void Border <25P-37> 존재 부재 경계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The surface is layered with countless layers of color, and as you approach, blue and red hues subtly emerge and disappear. The painting is not a fixed form, but rather an event constantly generated through difference and repetition. As Deleuze conceptualized, the surface of <25P-37> creates subtle differences within repetition, creating a new visual rhythm. At the same time, Heidegger's concept of "concealment and disclosure of being" is visually realized here. Purple and gray are veils that conceal existence, but the traces of color that emerge within suggest the energy of revelation.
표면에는 수많은 색의 층위가 겹겹이 쌓여 있으며, 가까이 다가갈수록 청색과 붉은 기운이 은밀하게 드러났다 사라진다. 회화는 고정된 형상이 아니라, 차이와 반복을 통해 끊임없이 생성되는 사건으로 다가온다.
들뢰즈의 개념처럼, <25P-37>의 화면은 반복 속에서 미묘한 차이를 낳으며 새로운 시각적 리듬을 만든다. 동시에 하이데거가 말한 ‘존재의 은폐와 드러남’이 여기에서 시각적으로 구현된다. 보라와 회색은 존재를 감추는 장막이지만, 그 속에서 피어나는 색의 흔적은 드러남의 기운을 암시한다.
![]() |
Encounter reconciliation unification <25P-36>
조우 화해 통일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In the <25P-36>, Yellow and blue hues gently permeate each other, transforming conflict into reconciliation. Here, revelation and concealment, light and darkness, do not exclude each other, but rather, like yin and yang, nourish each other and form a single flow. This work captures the moment of creation and resonance that occur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colors.
작품 <25P-36>에서 푸른빛은 서로를 가로지르며 부드럽게 스며들고, 대립은 화해로 전환된다.
여기서 드러남과 숨음, 밝음과 어둠은 서로를 배제하지 않고, 음양처럼 서로를 살리며 하나의 흐름을 이룬다. 이 작품은 두 색의 경계에서 이루어지는 생성과 공명의 순간을 포착한다.
The blue work <25P-35> symbolizes the stillness of the abyss, the depth of infinity, and the hiddenness of existence. The canvas appears to close, but instead expands infinitely, drawing the viewer into it. This resembles the "infinite" (無極) of Eastern thought, and in Merleau-Pontyian phenomenology, color is not simply something "seen," but something "immersed."
푸른빛(청색) 작품 <25P-35>은 심연의 고요, 무한의 깊이, 존재의 숨음을 상징한다. 화면은 닫히는 듯 보이지만, 오히려 무한히 펼쳐져 관람자를 그 속으로 끌어당긴다. 이는 동양적 사유에서 말하는 ‘무극(無極)’과 닮아 있으며, 메를로퐁티적 현상학에서 색은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잠기는 것’이 된다.
Sun Life Being <25P-34> 태양 생명 존재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This painting <25P-34> embraces infinite variation within the unity of yellow. Approaching closely, subtly different hues and textures form layers, captivating the viewer's gaze.
Philosophically, this work can be interpreted on four levels.
Disclosure of Being: Like Heidegger's "opening (alētheia)", this yellow is not a window representing objects, but a field where existence itself is revealed.
Generation of Difference: Like Deleuze's thought, differences constantly arise and repeat within seemingly identical color fields.
Fullness of Emptiness: Connecting with Eastern philosophy's concept of "emptiness," it reveals not a simple emptiness but a space brimming with possibility.
Phenomenology of Perception: As Merleau-Ponty observed, color is not simply seen, but experienced as a phenomenon that brings existence into being.
Therefore, this work is not simply a surface of color, but a philosophical landscape where existence and difference, emptiness and fullness, perception and the world intersect.
작품 <25P-34>는 노란색의 단일함 속에서 무한한 차이를 품고 있다. 가까이 다가가면 미묘하게 다른 색조와 질감이 층위를 이루며, 보는 이의 시선을 끝없이 머물게 한다.
철학적으로 이 작품은 네 가지 층위에서 읽힐 수 있다.
존재의 드러남: 하이데거가 말한 ‘열림(alētheia)’처럼, 이 노란색은 사물을 재현하는 창이 아니라 존재 자체가 드러나는 장(場)이다.
차이의 생성: 들뢰즈의 사유처럼, 동일해 보이는 색면 속에서 끊임없이 차이가 발생하고 반복된다.
비움의 충만: 동양철학의 ‘공(空)’ 사유와도 맞닿아, 단순한 비어 있음이 아니라 가능성으로 충만한 여백을 드러낸다.
지각의 현상학: 메를로퐁티가 말한 것처럼, 색은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존재하게 만드는 현상으로 경험된다.
이 작품은 따라서 단순한 색의 표면이 아니라, 존재와 차이, 비움과 충만, 지각과 세계가 만나는 철학적 풍경이라 할 수 있다.
Being Difference Repetition <25P-33> 존재 차이 반복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In Heidegger's thought, "Being" always exists within a dialectic of disclosure and concealment. He called this "opening (Lichtung)." Being presents itself in the opening of light, yet simultaneously withdraws back into darkness. The work (Golden Light) corresponds to the "moment of disclosure" in which Being reveals itself. The art work <25P-33> is the light of pure, yet unnamed, "being," the field in which Being reveals itself in its pre-linguistic state.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존재’는 언제나 드러남과 가려짐의 변증법 속에 존재한다. 그는 이를 “열림(Lichtung)”이라 불렀으며, 존재는 빛의 개시 속에서 스스로 현전하지만, 동시에 다시 어둠 속으로 물러난다. 작품 <25P-33>은 존재가 스스로를 “열어 보이는 ‘개시의 순간’”에 해당한다. 그것은 아직 이름 붙여지지 않은 순수한 ‘있음’의 빛이며, 존재가 언어 이전의 상태로 자신을 드러내는 장(場)이다.
Light Sense Being <25P-32> 빛 감각 존재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Beyond simply symbolizing brightness or the sun, in the art work<25P-32>, yellow seems to suggest the presence of being, or an inner, golden meditative space. The red traces at the edges suggest the passage of time, the edge of passion or extinction, and contrast with the calming gold at the center, implying the cycle and transformation of life.
작품 <25P-32>의 경우, 노란색은 단순히 밝음이나 태양의 상징을 넘어, 존재의 현전(presence) 혹은 내면의 황금 빛 명상 공간을 제시하는 듯하다. 가장자리의 붉은 흔적은 시간의 흔적, 열정 혹은 소멸의 가장자리를 암시하며, 중앙의 평온한 황금 빛과 대비를 이루어 삶의 순환과 변화를 함축한다.
Breath Time Being <25P-31> 숨결 시간 존재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Color: Green dominates the entire canvas, but within it are subtle layers of red, yellow, and brown. The differences in color density create the impression of a vibrant, living surface.
Texture: Rather than a thick layer of paint, the surface possesses a fine graininess reminiscent of repeated layers, dry brushstrokes, or even the marks of a sponge or cloth. This visually reveals the materiality of the painterly work and the accumulation of time.
Composition: Without a clear center or form, the work consists of a homogeneous yet gradual shift of color. The green on the left gradually transforms into tan as it moves to the right, creating a sensory flow reminiscent of light permeating through the layers of color.
This work, rather than a concrete representation of a natural landscape, expresses the vitality and traces of time inherent in nature through layers of color. Green symbolizes life, recovery, and growth, but also contains signs of aging and fading—a sense of cyclical time where life and decay coexist.
This painting can also be linked to Deleuze's concept of "différence et répétition." Though the same brushstrokes and colors are repeated, subtle differences emerge within this repetition, creating the rhythm of the entire painting. In other words, the creation of difference through repetition—the accumulation of pictorial time—can be considered the very subject of the work.
25P-31는 내면적인 색채 추상으로, 녹색과 황갈색의 미묘한 층위가 서로 스며들며 깊은 시간성과 자연의 호흡을 느끼게 한다.
색채: 화면 전반에 녹색이 주조를 이루지만, 그 안에는 미세한 붉은색, 노란색, 갈색이 다층적으로 섞여 있다. 색의 밀도 차이에 의해 표면이 진동하듯 살아 움직이는 인상을 준다.
질감: 표면에는 두꺼운 물감층이 아니라, 반복된 덧칠과 마른 붓질, 혹은 스펀지나 천으로 두드린 흔적처럼 보이는 미세한 입자감이 있다. 이는 회화적 물질성과 시간의 누적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구도: 명확한 중심이나 형태가 없고, 균질하면서도 점진적인 색의 이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왼쪽의 녹색이 오른쪽으로 가면서 점차 황갈색으로 변화하며, 마치 빛이 스며드는 듯한 감각적 흐름을 만들어낸다.
이 작품은 자연 풍경의 구체적 재현보다는, 자연이 내포한 생명력과 시간의 흔적을 색의 층위로 표현한 것이다. 녹색은 생명, 회복, 성장을 상징하지만, 동시에 노화와 퇴색의 징후도 함께 내포하고 있어 — 생명과 소멸이 공존하는 순환적 시간의 감각이 드러난다.
이 회화는 들뢰즈의 “차이의 반복(différence et répétition)” 개념과도 연결지을 수 있다. 동일한 붓질이나 색의 반복이지만, 그 반복 속에서 미묘한 차이들이 생겨나면서 전체 화면의 리듬을 형성한다. 즉, 반복을 통한 차이의 생성 — 회화적 시간의 축적 그 자체가 작품의 주제라고 할 수 있다.
![]() |
Life Time Being <25P-30> 생명 시간 존재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The painting surface <25P-30> is not a path from one color to another, but a space where change itself becomes reality. Existence is not a fixed form, but a constantly changing event. I am green, yellow, and orange at the same time. I exist in a state of 'already' and 'not yet.'"
“ <25P-30>의 화면은 하나의 색에서 다른 색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아니라, 변화 그 자체가 실체가 되는 공간이다.존재는 고정된 형상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해가는 사건이다. 나는 초록이면서 동시에 노랑이며 오렌지이다. 나는 ‘이미’면서 ‘아직 아닌’ 상태로 존재한다.”
This painting is not an array of colors. It is an "open field" where existence reveals itself. Green represents the world yet to be revealed, and orange represents the world already revealed.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not a single color, but the "between-being (Zwischenwesen)" that unfolds between them. We do not see fixed colors, but the moment when colors reveal and disappear—the "unconcealment (ἀλήθεια)" of existence. This painting is not a completed form, but an event in which existence reveals itself.
“이 화면은 색의 나열이 아니다. 이는 존재가 스스로를 드러내는 ‘열린 장’이다. 초록은 아직 드러나지 않은 세계이며, 오렌지는 이미 드러난 세계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어느 한 색이 아니라, 그 둘 사이에서 펼쳐지는 ‘사이-존재(Zwischenwesen)’이다. 우리는 고정된 색을 보는 것이 아니라, 색이 드러나고 사라지는 순간 — 존재의 ‘탈은폐(ἀλήθεια)’를 목격한다. 이 그림은 완결된 형상이 아니라, 존재가 스스로를 드러내는 사건이다.”
![]() |
Border Tension Reconciliation <25P-29> 경계 긴장 화해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The work <25P-29> demonstrates that borders are not severances but places of encounter, that difference is not excluded but operates as a principle of creation, simultaneously reveals the materiality and phenomenality of painting, and ultimatel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that embraces difference.
이 작품은 경계가 단절이 아니라 만남의 장임을 보여주고, 차이가 배제되지 않고 생성의 원리로 작동하며, 회화의 물질성과 현상성을 동시에 드러내며, 결국 차이를 안은 공존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시각적 철학 실험이다.
![]() |
Purity Desire Eros<25P-1> 순결 욕망 에로스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In the work <25P-28>, the intense pink and magenta symbolize erotic vitality, desire, and sensual passion. The repeated vertical lines, in the Deleuzian sense, are repetitions that generate difference, revealing the generative movement of existence. Philosophical meaning: Plato's eros (love) can be pictorially translated as the upward movement from sensation to idea.
작품 <25P-28>에서 강렬한 분홍과 마젠타는 에로스적 생명력, 욕망, 감각적 열정을 상징한다. 반복되는 수직의 선들은 들뢰즈적 의미에서 차이를 낳는 반복으로, 존재의 생성적 운동을 드러낸다. 철학적 의미: 플라톤의 eros(사랑) ― 감각에서 이데아로 향하는 상승 운동을 회화적으로 번역할 수 있다.
![]() |
Flow Formation Energy<25P-5> 흐름 생성 에너지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Bright bands running across the surface—intertwined areas of yellow, green, white, and red—look like fault lines of energy. Colors swirl and flow above and below, demonstrating a sense of movement. This transcends the static plane, demonstrating that the painting operates as a field of force. → This connects to Deleuze's concept of "flux." An object is not a fixed entity, but a process of constant creation through the interweaving of various forces.
화면을 가로지르는 밝은 띠 ― 노랑, 초록, 흰색, 붉은색이 얽힌 부분 ― 은 에너지의 단층선처럼 보이게 하였다. 그 위아래로 색채가 휘어지며 흘러내리는 듯한 운동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정적인 평면을 넘어, 회화가 힘의 장(場) 으로 작동한다.
→ 들뢰즈의 ‘흐름(Flux)’ 개념과 연결된다. 개체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다양한 힘이 얽혀 끊임없이 생성되는 과정이다.
![]() |
Nature Time Trace <25P-6> 본질 시간 흔적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Color: Layered primarily in orange, ochre, and red, the work reveals a deep texture. This hue evokes sunlight, twilight, fire, and the warmth of earth.
Composition: A vertical flow of color repeats, rhythmically dividing the entire screen. The vertical composition seems to symbolically represent natural tree trunks, rays of light, or the flow of consciousness.
Texture: The thick, rough matière evokes a tactile experience that transcends mere color overlays.
색채: 주로 주황, 황토, 붉은 계열이 겹겹이 층을 이루고 있으며, 깊이감 있는 텍스처가 드러나게 한다. 이 색조는 태양빛, 황혼, 불, 흙의 따스함 등을 연상시킨다.
구성: 세로로 흐르는 듯한 색의 흐름이 반복되며, 화면 전체를 리드미컬하게 분할한다. 수직적인 구도는 자연의 나무줄기, 빛줄기, 혹은 의식의 흐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듯하다.
질감: 두텁고 거친 마티에르가 느껴져서, 단순히 색의 겹침을 넘어 촉각적 경험을 불러일으킨다.
![]() |
Nature Time Speed <25P-7> 본질 시간 속도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Color: Layers of primarily orange, ochre, and red hues reveal a deep, textured feel. These hues evoke sunlight, dusk, fire, and the warmth of earth.
Composition: The vertical flow of color repeats, rhythmically dividing the entire canvas. The vertical composition seems to symbolically represent natural tree trunks, rays of light, or the flow of consciousness.
Texture: The speedy flow and color resonate with the lightly applied touches, evoking a visual and lively sensibility that transcends mere color overlays.
색채: 주로 주황, 황토, 붉은 계열이 겹겹이 층을 이루고 있으며, 깊이감 있는 텍스처가 드러나게 한다. 이 색조는 태양빛, 황혼, 불, 흙의 따스함 등을 연상시킨다.
구성: 세로로 흐르는 듯한 색의 흐름이 반복되며, 화면 전체를 리드미컬하게 분할한다. 수직적인 구도는 자연의 나무줄기, 빛줄기, 혹은 의식의 흐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듯하다.
질감: 스피디한 흐름과 색채는 엷게 채색된 터치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단순히 색의 겹침을 넘어 시각적인 경쾌한 감성을 불러일으킨다.
![]() |
Sun Life Energy <25P-11> 태양 생명 에너지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Color: Green dominates, with yellow spreading like light, infusing life and vitality. Here and there, white touches feel like reflections of light, while brown and red dots create a sense of rhythm.
Texture: The thick impasto technique, applied with thick layers of paint, is prominent, creating a tactile landscape.
Composition: The strong vertical flow creates a structure reminiscent of a forest or tree trunks. It seems to abstractly depict a forest scene with light streaming through the trees.
색채: 전체적으로 빛나는 노란빛이 화면을 지배하여 태양, 생명력, 에너지의 상징을 떠올리게 한다. 곳곳에 스민 녹색은 자연의 숨결이나 풀잎이 흩뿌려진 느낌을 주어, 생동하는 자연 풍경의 단편처럼 보이기도 한다.
질감: 거칠게 긁히고 두텁게 발린 표면은 단순한 색면을 넘어 촉각적 경험을 유발한다.
공간성: 구체적 형태는 없지만,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 한 뉘앙스가 있어 ‘빛이 스며드는 벽’ 혹은 ‘들판 위의 공기’ 같은 깊이를 느낄 수 있다.
![]() |
Warm Life Happiness <25P-12> 따뜻함 생명 행복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Traces of Time – Repeated scratches and layering resemble an “eroded wall,” as if traces left by wind and light over time.
Emotional Resonance – The golden canvas radiates warmth and positive energy, while the scattered green patches hint at the cracks and vibrant life hidden within.
시간의 흔적 – 반복된 긁힘과 레이어링은 ‘침식된 벽’처럼 보이며, 마치 오랜 시간 동안 바람과 빛이 남긴 흔적 같다.
정서적 울림 – 황금 빛 화면은 따스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는 동시에, 곳곳의 녹색 얼룩은 그 안에 숨은 균열과 생명의 약동을 암시한다.
자연적 풍경 – 멀리서 보면 햇살 가득한 초원, 가까이서 보면 풀잎의 흔적 같은 이미지가 추상적으로 드러난다.
시간의 흔적 – 반복된 긁힘과 레이어링은 ‘침식된 벽’처럼 보이며, 마치 오랜 시간 동안 바람과 빛이 남긴 흔적 같다.
정서적 울림 – 황금 빛 화면은 따스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는 동시에, 곳곳의 녹색 얼룩은 그 안에 숨은 균열과 생명의 약동을 암시한다.
그 안에서 미묘한 제스처가 마치 바람처럼 흘러 지나간다. 그래서 마치 맹수의 깃털을 스치는 바람처럼 보일 수도 있다.
![]() |
Life Mystery Fresh <25P-15> 생명 신비 생성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Green symbolizes primal nature, life, and restoration. The red traces permeating it reveal the pulse of life and the tension of existence.
Philosophical significance: Like Heraclitus's thought that "struggle is the father of all things," it shows that life is created through conflict.
녹색은 근원적 자연, 생명, 회복을 상징한다. 그 안에 스며든 붉은 흔적은 생명의 맥박이자 존재의 긴장을 드러낸다.
철학적 의미: 헤라클레이토스의 “투쟁은 만물의 아버지”라는 사유처럼, 대립 속에서 생명이 생성됨을 보여준다.
![]() |
Gravity Spread Extinction <25P-16> 중력 확산 소멸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 |
Gravity Spread Extinction <25P-16> 부분 |
While creating this work, I was filled with negative energy, thinking it was too monotonous, childish, and unlikely to become a work of art. However, an unexpected twist emerged from that monotonous, ignorant, and clumsy composition. This was because a new thought emerged: that the work could resemble the creation of the world. This thought arose as I zoomed in on the center.
색채: 연보라, 청록, 하늘색 같은 차가운 톤이 화면을 지배하면서, 노랑·빨강·남색 등 강렬한 색채가 작은 점이나 선처럼 흩뿌려져 리듬감을 준다.
질감: 붓질이 두텁게 쌓인 부분과 얇게 스쳐간 부분이 공존하여 회화적 물성을 강하게 드러냅니다. 특히 중첩된 붓 자국이 마치 수채화 같은 흐름과 동시에 유화의 질감을 살려낸다.
구성: 수직과 사선의 붓질이 많아 화면이 위아래로 흐르는 듯한 동세를 갖고 있다. 숲속의 빛이 흔들리며 스며드는 느낌, 혹은 빛이 물 위에 반사되는 듯한 장면을 연상시킨다.
인상: 몽환적이면서도 청량한 분위기를 주며, 감각적으로는 자연의 일부—꽃잎, 나무, 물빛—이 추상적으로 응집된다.
![]() |
Mild Love Happiness <25P-19> 온유 사랑 행복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The background is expressed through the spread and overlapping of pink, lavender, and blue,
with small dots of yellow, red, and green scattered over it, creating a sense of liveliness.
Yellow and red, in particular, lend rhythm to the scene, while blue creates a sense of stability.
배경은 분홍, 연보라, 푸른색이 번짐과 겹침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그 위에 노랑, 빨강, 초록 등의 작은 색점들이 흩뿌려져 있어 생동감을 준다.
특히 노랑과 빨강은 화면에 리듬감을 부여하고, 푸른색은 안정감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파랑(Blue)의 심리 효과
정서적 안정: 파랑은 인간에게 진정 효과를 주며 심박수를 낮추고 긴장을 완화하는 색이다.
지적·영적 탐구: 파랑은 사유, 명상, 내적 탐험을 자극합니다. 사유와 몰입을 유도하는 이유다.
고독과 무한: 심해(深海)나 우주를 연상시키는 어두운 블루는 고독·무한·신비와 연결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자신을 성찰하게 만든다.
이 작품은 색채와 붓질이 끊임없이 변주되며 반복된다. 같은 계열의 색이 반복되지만, 결코 동일하지 않고 미세한 차이를 드러낸다. 들뢰즈가 말한 "반복은 동일성의 복제가 아니라 차이의 생성"이라는 관점에서, 이 화면은 차이를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감각을 생산하는 장(場)이라 할 수 있다.
하이데거는 예술작품을 "진리의 현현(顯現)"이라고 말했다. 이 그림은 무엇인가를 명확히 재현하지 않지만, 오히려 그 비재현성 속에서 ‘세계-성’을 드러낸다. 색채와 질감이 단순한 물질을 넘어, 숲의 빛, 물결, 공기 같은 "보이지 않는 현상"을 은유적으로 열어 보입니다. 즉, 그림은 숨겨진 세계가 스스로 드러나는 사건으로 작동한다.
![]() |
Light Silence Midnight <25P-24> 빛 적막 한밤중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 |
Light Silence Midnight <25P-24> 부분 |
This work <25P-24> depicts the subtle flow of light within black, and I sought to visually express its resonance. A close look at this painting reveals subtle ripples, as shown below.
![]() |
Silence Dawn Mysterious <25P-25> 고요 새벽 신비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Color: The overall neutral palette creates a restrained atmosphere. Subtle differences in soft white and gray create depth.
Texture: Paint is applied roughly with a palette knife or thick brushstrokes, scratched, and accumulated to enrich the composition. The long, horizontal textured sections, in particular, evoke layers of rock or a weathered wall.
Structure: Horizontally repeating bands of matière stably divide the composition, creating subtle variations in the spaces between them to create a sense of rhythm.
색채: 전체적으로 무채색 계열을 사용하여 절제된 분위기를 주고 있다. 은은한 흰색과 회색의 미묘한 차이가 화면 깊이를 만든다.
질감: 팔레트 나이프 혹은 두꺼운 붓질로 물감을 거칠게 올려 긁고, 쌓은 자국들이 화면을 풍부하게 한다. 특히 수평적인 긴 질감 부분은 흡사 지층이나 풍화된 벽면을 연상시킨다.
구조: 수평적으로 반복되는 마티에르의 띠들이 화면을 안정적으로 나누며, 그 사이사이에 미묘한 변화를 주어 리듬감을 형성한다.
너무 고요해서 답답하다. 포커스가 정확하게 맞지 않는 그림처럼 흐릿하게 그려져 있다. 그것은 사물의 세계를 초월하여 비 표현이자 비 물질적인 이상적인 어느 순간에 도달하고자 하는 열망이 잠시 나를 이러한 그림을 그리게 하였다.![]() |
Being Fade Rebirth <25P-27> 존재 소멸 재생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This work alludes to the "cycle of existence" or "disappearance and re-blooming,"
symbolizes the "trajectory of memory" or "rising from collapse,"
and ultimately, suggests "the time of traces."
이 작품은〈존재의 순환〉혹은〈사라짐과 다시 피어남〉을 암시하고
〈기억의 궤적〉이나 〈무너짐에서 솟아남〉을 상징하고
결과적으로는〈흔적의 시간〉을 암시한다.
![]() |
Silence Void Trace <25P-28> 고요 여백 흔적 80x80cm Acrylic on canvas 2025 |
이 작품은 너무 단조롭고 유치하여 볼품없이 느껴진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마치 캔버스를 물감으로 기워서 붙인듯한 일루전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그 이미지를 확대하면 아래와 같은 두터움을 볼 수 있다. 그것은 마치 안개를 꿰매어 물질을 이끌어내는 정신작용과도 비교될 수 있다.
![]() |
Silence Void Trace <25P-28> (부분) |
This work feels too monotonous and childish, almost unappealing. However, behind it all, an illusion is created at the center, as if the canvas had been plastered with paint. Enlarging the image reveals a greater thickness, as shown below. It can be compared to the mental process of sewing together fog to bring out matter.
No comments:
Post a Comment